검출된 76종 중 국내외 먹는 물 기준이 있는 17종은 기준치 아래
국내외 기준이 없는 나머지 59종은 국외 검출 농도보다 낮거나 유사

사진=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114종, '먹는물' 생산에 우려 없음 확인
사진=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114종, '먹는물' 생산에 우려 없음 확인

[문화뉴스 박소연 기자] 국립환경과학원은 낙동강 상수원의 먹는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왜관수질측정센터(경북 칠곡군 소재)에서 수행한 2023년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 결과를 23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에서 관리하지 않고 있는 미량오염물질 중에서 2022년 이전 조사에서 주로 검출된 물질과 국외에서 관리하고 있거나 관리를 위한 후보물질 114종을 대상으로 낙동강 왜관지점에서 주 2회, 상하류 기타 지점(강정, 남지, 물금)에서 2023년도 한 해 동안 월 1회씩 측정했다.

조사 결과, 낙동강 전체 조사 지점에서 조사대상 114종 중에 76종(산업용 29종, 농약류 32종, 의약물질 15종)의 물질이 검출됐다.  

검출된 76종 중에 국내외 기준이 있는 17종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나타났으며, 국내외 기준이 없는 나머지 59종은 국외 검출 농도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지점별로는 왜관(경북 칠곡군, 제2왜관교) 지점에서 74종이 검출되었으며, 강정(경북 구미시, 숭선대교), 남지(경남 함안군, 남지교), 물금(경남 양산시) 등 기타 조사 지점에서는 각각 64종, 67종, 68종의 물질이 검출되었다.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올해부터는 낙동강 하류지역의 매리수질측정센터(경남 김해시 소재)와 왜관수질측정센터를 연계해 운영하여 낙동강  전 구간에서 미량오염물질의 촘촘한 감시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2023년 미량오염물질 조사 결과' 전문은 환경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