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6일부터 27일 매주 목요일 저녁 6시 30분, 서울연극센터

사진 = '아시아 플레이' 포스터 / 서울문화재단 제공
사진 = '아시아 플레이' 포스터 / 서울문화재단 제공

[문화뉴스 김수민 기자] 서울문화재단 서울연극센터가 국내 미발표 아시아권 희곡을 낭독하는 '아시아 플레이'를 개최한다.

서울문화재단 서울연극센터는 오는 6일부터 27일까지 매주 목요일 저녁 6시 30분, 국내 미발표 아시아권 희곡을 낭독하는 ‘아시아 플레이’를 무료로 선보인다고 밝혔다.

국내 청년예술가 8팀이 참가하는 ‘아시아 플레이’는 일본, 태국, 베트남, 중국 등 아시아 권역의 작품을 매주 국가별 2편씩 낭독공연으로 발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서울문화재단은 “이번 프로젝트는 연극장르 진입단계 청년예술인을 뜻하는 ‘첫 배우’가 국내 미발표된 텍스트 ‘첫 희곡’을 만나 무대에 설 수 있도록 지원하며, 관객이 낭독공연의 재미를 발견하도록 다양한 라인업을 구성해 준비했다”고 전했다.

이어, “라인업에 선정된 아시아 희곡들은 무대에서 대본의 확장성과 아시아 연극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며, “다양한 국가의 희곡을 비교해 관람할 경우, 자본주의의 첨병이자 식민통치와 냉전으로 얼룩진 역사를 기억하는 아시아의 현재를 두루 돌아볼 수 있다”고 말했다.

가난한 화가들이 작당해 한 명을 요절한 천재화가로 둔갑시키며 일어나는 에피소드 ‘도모마타의 죽음’, 올림픽 출전권을 다투는 수영시합 종료 후 선수들과 도핑 검사원의 관계를 그린 ‘컨트롤 오피서’, 태국 ‘팀마삿 학살’ 40주기을 맞아 초연된 고발성 연극 ‘아무데도 없는 곳’, 계산 불가능한 사랑의 무게를 수학 공식에 빗대어 그린 ‘=3/4’, 전통적 가정의 붕괴와 가부장제의 몰락을 풍자하며 왕의 존재를 묻는 ‘왕은 없다’, 나룻배로 강을 건너다 얽힌 사건에서 인간에 관한 담론 탐구로 이어지는 ‘강 건너기’, 부유한 회장의 후원을 받기 위해, 의미 있던 순간을 연출하며 일어나는 사건을 그리는 ‘회장님의 일생’, 인생은 어떤 선택이든 같은 길을 가게 된다는 메시지를 담은 ‘당신의 발톱’ 등 8편이 차례로 이어진다.

무대에 오르는 예술가들은 각국의 모순을 들여다보며 아시아 청년으로서의 유사점을 찾고, 평등과 민주주의 등 가치를 살피며 공유하는 매개로서의 연극을 실험한다. 

한편, ‘아시아 플레이’는 서울연극센터가 올해 처음 시도하는 공공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청년예술가와 함께하는 이번 ‘봄’ 프로젝트에 이어 오는 11월에는 중장년 예술가 대상의 ‘가을’이 예정되어 있다.

문화뉴스 / 김수민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