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알 수 없는 발열환자(37.5℃ 이상) 말라리아 의심
매개모기 방제 강화, 모기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 준수

전국 '말라리아 모기 주의보'…말라리아 위험지역, 증상, 검사, 예방수칙은? /사진=경기도 제공
전국 '말라리아 모기 주의보'…말라리아 위험지역, 증상, 검사, 예방수칙은? /사진=경기도 제공

[문화뉴스 고나리 기자] 질병관리청이 지난 18일 전국에 말라리아 주의보를 발령한 데 이어, 경기도가 파주시에 올해 첫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했다.

질병청은 올해 말라리아 매개모기 조사감시사업을 통해 23주차(6월 2일~8일)에 말라리아 위험지역(서울, 인천, 경기, 강원)에서 채집한 말라리아 매개모기가 3개 시·군 이상에서 증가함에 따라 주의보 기준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말라리아는 모기를 매개로 전파된 학질원충에 의해 감염되는 기생충병의 일종으로, 말라리아 증상은 일반적으로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위험지역 내 의료기관에서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발열환자(37.5℃ 이상)가 방문 시 말라리아를 의심해야 한다고 질병청은 전했다. 

이에 신속진단검사(RDT)와 확인진단검사(현미경검사 또는 유전자 검출검사)를 실시하며, 신속진단검사결과가 음성이라도 임상·역학적으로 필요시 유전자 검출검사(PCR)를 실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질병청은 올해부터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4개 시도(서울·인천·경기·강원) 내 53개 시군구로 확대했다. 위험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야간활동 자제, 운동후 샤워, 밝은색 긴옷 착용, 기피제나 살충제 사용, 모기 서식처 제거, 방충망 정비 등 예방수칙 및 인식도 제고를 위해 말라리아 주의보-경보체계를 도입해 말라리아 유행을 조기에 차단하기로 했다.

한편 말라리아 위험지역 53개 시군구 내 61개 지점에서 23주 차 매개모기 밀도 감시 결과, 하루 평균 모기지수가 0.5이상인 지역이 강화군(0.8), 파주시(0.8), 철원군(0.6)으로 말라리아 주의보 발령 기준을 충족했다.

올해 주의보 발령은 지난해보다 1주 이르며, 이는 말라리아 위험지역의 23주 차 최고 기온(27.3℃)이 평년 및 전년 대비 2℃ 높아져 모기의 활동이 다소 빨라진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신고된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23주(6.8)까지 모두 101명으로 전년 동기(137명) 대비 26.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환자 발생 현황은 경기(60.4%), 인천(14.9%), 서울(12.9%) 순이었으며 역학조사 결과 주요 추정 감염지역은 경기 파주시, 김포시, 연천군, 고양시 일산서구, 인천 강화군으로 확인됐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말라리아 매개모기가 잇달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는 매개모기 방제를 강화하고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해 달라”면서 “특히 말라리아 위험지역 주민은 말라리아 의심 증상 발생 때 가까운 보건소 등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화뉴스 / 고나리 기자 [email protected]

사건/사고 최신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